본문 바로가기
모든정보

이륜차 정기검사 바로 예약하기 : 검사주기, 과태료, 대상자 확인, 검사예약방법, 오토바이 점검(2025년 최신)

by world-ri 2025. 3. 14.
SMALL

이륜자동차 정기검사는 대기오염 감소 및 소음 관리를 위해 반드시 받아야 하는 의무 사항입니다. 정해진 기한 내에 검사를 완료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되므로, 반드시 기간을 준수해야 합니다.

 

 

특히, 2025년부터 변경된 검사 대상과 신청 방법을 반드시 숙지하고, 과태료 기준 및 검사소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이륜자동차 정기검사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이륜차 정기검사 바로 예약하기 : 검사주기, 과태료, 대상자 확인, 검사예약방법, 오토바이 점검(2025년 최신)

 

1. 정기검사 신청 방법

이륜자동차 정기검사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아래 내용으로 확인해서 온라인을 통해서 정기검사 예약을 해보세요.

1) 온라인 신청 방법

  • 한국교통안전공단 홈페이지 접속 
  • 사이버검사소 메뉴에서 정기검사 예약
  • 검사비 결제 후 예약 완료

 

 

2) 오프라인 신청 방법

  • 가까운 한국교통안전공단 검사소 방문
  • 접수 후 검사업무 진행
  • 검사 완료 후 결과 확인 및 서류 수령

 

3) 필요한 서류

  • 이륜자동차 사용신고필증
  • 보험가입증명서
  • 신분증

 

 

2. 정기검사 기간 및 주기

이륜자동차 정기검사는 최초 사용신고일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은 주기로 진행됩니다.

  • 최초 검사: 사용신고일로부터 3년 후 첫 검사 실시
  • 이후 검사 주기: 첫 검사 이후 2년마다 정기검사 실시
  • 검사 유효기간: 유효기간 만료일 전후 각각 31일 이내에 검사를 완료해야 함

만약 기한을 넘기면 과태료가 부과되므로, 반드시 기간 내에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3. 2025년 변경된 정기검사 대상

2025년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자동차관리법 개정안에 따라 정기검사 대상이 확대되었습니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존: 배기량 260cc 이상 이륜자동차만 정기검사 대상
  • 변경 후: 배기량과 관계없이 모든 이륜자동차 정기검사 필수

 

 

 

즉, 기존에는 대형 이륜자동차만 정기검사를 받았으나, 이제는 50cc, 125cc 등의 소형 이륜자동차도 포함됩니다. 따라서 기존에 정기검사를 받지 않았던 소형 오토바이 사용자들도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4. 과태료 기준

검사 기간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아래와 같은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지연 기간과태료

30일 이내 2만 원
30일 초과 후 매 3일마다 1만 원 추가 (최대 20만 원)
검사명령 불이행 300만 원 이하의 벌금

과태료 부담을 피하려면 미리 정기검사를 예약하고 기한 내에 검사를 완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검사소 위치

이륜자동차 정기검사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검사소 및 지정 정비업체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주요 검사소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이륜차 정기검사소

  • 서울: 한국교통안전공단 강남검사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헌릉로 745)
  • 경기도: 한국교통안전공단 용인검사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853)
  • 부산: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로 200
  • 대구: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서공단로 300
  • 광주: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123

정확한 검사소 위치와 운영시간은 한국교통안전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이륜자동차 정기검사 체크리스트

검사 전 반드시 아래 사항을 점검하여 불합격을 방지하세요.

✔️ 배출가스 허용기준 초과 여부

✔️ 소음 허용 기준 초과 여부

✔️ 브레이크, 라이트 정상 작동 여부

✔️ 타이어 마모 상태 확인

✔️ 엔진 오일 및 냉각수 점검

 

 

7. 이륜자동차 정기검사란?

이륜자동차 정기검사는 일정 기간마다 차량의 배출가스 및 소음 등을 점검하여 안전성과 환경 보호를 확보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상태를 점검하고, 기준을 초과하는 오염물질 배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8. 정기검사의 중요성

이륜자동차 정기검사는 단순한 법적 의무가 아니라, 안전한 운행을 위한 필수 절차입니다. 정기검사를 통해 차량의 이상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경 보호와 대기오염 방지를 위해 배출가스를 관리하는 중요한 수단이므로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합니다.

 

 

이륜자동차 정기검사는 법적으로 필수이며, 2025년부터 모든 배기량의 이륜자동차가 대상이 됩니다. 검사 기간을 지키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되므로, 반드시 정해진 기한 내에 검사를 완료해야 합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의 검사소에서 쉽게 신청할 수 있으며, 온라인 예약도 가능합니다. 미리 준비하여 불이익을 방지하고 안전한 운행을 유지하세요.

 

LIST